top of page

1. 미세전류 의 정의

종래의 전기자극치료(ETS), 경피신경전기자극칠(TENS),고압맥동치료(HVPC) 등은 모두 mA 단위로 자극을 하는데 ​1mA 이하의 전류를 인가하는 전기치료 장치를 마이크로 암페어 장치라고 합니다.

저 전류 자극을 MENS(Microcurrent  Electrocal Neromuscular Stimulation)라고하고 마이크로커런트라고도 합니다.

미세전류 전기자극요법은 조직에 지각적으로 무감각한 uA레벨의 대단히 미약한 전류로 자극을 합니다. 

일반적인 저주파 자극기와 달리 근육의 수축 등은 전혀 나타나지 않습니다. 

역사적으로 1970년대 학술적인 연구가 일부 보이기도 했지만 일본에서는 주로 운동선수의 케어를 목적으로 사용 하였습니다.

실제의 치료기는 작고 가지고 다니기 편하여 선수 개인휴대 타입이 있고 조작도 간편했습니다.

특히 부작용이 없고 치료비용이 경제적인 이점이 크고, 인대손상, 타박상, 연부조직손상등에 사용하였는데 조기에 경기복귀가 가능한 케이스가 많아서 현장에서 많은 경험이 쌓여 왔습니다.

2.미세전류의 메카니즘

미세전류의 생체조직에서의 작용 메카니즘은 ATP 생성의 증가에 관여 한다고 보고되어져 있습니다. Cheng 등은 전기 자극에 의한 쥐의 피부조직에서 ATP 생성을 관찰한 결과 500uA에서 증가하고 1000uA(=1mA)에서 감소하여, 출력이 작으면 ATP 생산의 효과가 크고 50~1000uA 범위에서 미처리 보다 3~5배 증가 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또 미야자키(宮崎)등은 미세전류의 효과는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를 움직여 ATP 합성을 촉진하는 것 같다고 추측 했습니다. 그러나 아직 미세전류의 상세한 작용 메카니즘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3.미세전류의 효과

미세전류는 통증제어효과 와 손상조직의 치료촉진 효과의 2가지가 있습니다.

 - 통증제어효과

   Curtis는 35명의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비정상 트레이닝(eccentric training)을 시킨 후 미세전류 20분간 실시 후 근육통의 유의차가 작았다고 보고 했다. 또 Lamer는 만성 요통환자 40명에 대하여 미세전류 자극을 실시한 군과 실시하지 않은 군을 나눠서 효과를 본 결과 실시한 군은 실시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37.26%요통이 경감 했다고 보고 했으며 2개월 후 미세전류를 실시한 군은 75.22%, 실시하지 않은 군은 6.3%가 경감 했다.  

 - 손상조직의 치료 촉진 효과 

   손상조직의 치료 대상 조직으로는 피부궤양, 욕창, 창상,인대, 골격근에 대한 치료 효과가 다수 있다.

bottom of page